bass
article thumbnail

앞으로 우테코에 지원하실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작성했습니다.

지원서 작성

거의 모든 합격 후기와 모든 온라인 설명회를 참고했습니다.

개인적으로 자소서는 신경을 쓸수록 잘 써진다고 생각해서 1달 이상 준비했습니다. 특히 우테코는 지원서가 큰 비중을 가진다고 생각해서 더욱 신경 썼습니다.

1. 프로그래밍 학습 과정은?

중학생 때 스크래치로 개발에 흥미를 가진 이야기부터 웹 개발에 이르기까지 뭐든 궁금한 것이 있었고, 배우고 싶은 것이 있었고, 또 그것을 위해 독학을 했다는 점을 자세하게 풀었습니다.

 

실제로 독학하면서 개발한 프로젝트가 많이 있었기 때문에 경험과 근거를 바탕으로 작성할 수 있었습니다.

 

문제가 생기면 호기심을 가지고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어필하고 싶었습니다.

2. 프로그래머가 되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창작 자체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란 것을 어필하였습니다. 그리고 그저 잘하는 개발자가 아니라 어떻게 개발해야 잘하는 개발자인지 주관적이지만 구체적으로 제 생각을 작성했습니다.


저는 추상적으로 작성했지만 되도록 목표를 위해 노력한 부분까지 설명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3. 마음이 끌리는 무엇인가에 긴 시간 동안 몰입해 본 경험이 있나요?

가장 어렵고 고민을 많이 한 질문이었습니다. 처음에는 인공지능 프로젝트를 1년간 진행한 내용을 적었습니다.

 

그러다 온라인 설명회에서 포비가 몰입 경험의 예시로 펜팔로 연애를 시작한 이야기를 듣고 마음이 바뀌었고, 앞뒤 안 가리고 가슴이 시켜서 한 일을 적고자 하였습니다.


그래서 결국 맨땅에 베이스를 배우기 시작해서 영상을 찍고 밴드를 하며 대회에 수상한 내용을 적었습니다.


베이스를 시작한 지는 오래된 것이 맞지만 대회를 준비하는 과정이 1년이 넘은 것은 아니기 때문에 걱정을 많이 했지만
그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어도 포기하지 않았다는 점을 어필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4. 우아한테크코스에 참여하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저는 주변에 웹개발을 공부하는 친구가 없었고, 전역 후에 독학을 하면서 큰 한계를 느꼈습니다.

 

우테코에서는 평소에 느꼈던 거의 모든 갈증을 해소할 수 있고, 소중한 기회란 것을 잘 알기 때문에 어려움 없이 열정을 표현할 수 있었습니다.

자소서 내용은 노션으로 정리

노션으로 근거 자료를 정리해서 자소서의 모든 내용에 의문이 들지 않도록 노력했습니다.

프리코스

 

우아한테크코스 5기 / 프리코스

글의 목적 우테코의 프리코스가 무엇이고, 무엇을 하는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적습니다. 누구나 지원할 수 있고, 경험할 수 있습니다. (코딩테스트가 사라졌습니다) 프리코스? 프리코스는 pre-c

bassyu.tistory.com

프리코스를 열심히 해야 하는 이유는 최종 코딩테스트와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매주 미션의 내용이 달라지지만, 그 속에 있는 공통점을 찾아내서 최종 코딩테스트 때 적용할 수 있도록 훈련해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단순히 기능만 구현하고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 커뮤니티나 코드리뷰를 활용하면서 무엇이 좋은지 비교하고, 주어지는 요구사항을 최대한 지켜보려고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매주 코치와 수다 타임을 진행하는데 이 시간이 정말 유익하고 소중했습니다!)

처음에는 저도 어떻게 5시간 안에 구현하나 막막했습니다. 하지만 4주 내내 프리코스에 몰입하면 분명 해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최종 코딩테스트

생각보다 깃과 깃헙을 사용하면서 실수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시험을 보기 전 최대한 많이 사용해 보는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1달간의 준비기간

프리코스가 끝나면 1달 뒤에나 최종 코딩 테스트를 보게 됩니다. 1차 합격이 될지 모르지만 일단 준비해 보자는 마음으로 준비했습니다.

 

처음 1주일은 프리코스를 잊을 정도로 신경을 안 쓰고 2주 차부터 풀었던 과제들을 다시 풀어봤습니다.

여기서 그냥 푸는 것이 아니라 5시간의 제한을 걸어두고 풀 수 있을지, 중간에 실수하지 않는지, 어떤 패턴으로 푸는 게 유리할지 생각하면서 풀었습니다.

 

최종 코딩테스트도 마찬가지로 코딩 자체를 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프로그래머스에서 알고리즘도 풀면서 원하는 것은 바로 구현할 수 있도록 노력했습니다.

테스트 소감

 

[점심 메뉴 추천] 유강현 미션 제출합니다. by bassyu · Pull Request #25 · woowacourse-precourse/javascript-menu

 

github.com

 

제가 느낀 난이도는 3, 4주차 프리코스와 비슷했습니다.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성공까지는 2시간이 안 걸렸는데 생각보다 빨리 됐습니다. 이후 리팩터링과 테스트를 작성했는데, 오히려 이 부분은 연습이 부족해서 시간이 오래 걸렸습니다.

 

(중간에 포비가 들어와서 신기하고 반가운 마음에 웃참하느라 힘들었습니다..)

 

최종 코딩테스트때 측정한 시간

느낀 점

예전에 작성한 코드가 답답해 보일 정도로 많이 성장한 과정이었습니다.

 

합격을 하고 나서 돌아보니 열심히 했다는 생각이 들지만, 당시에는 너무 불안했고 잘하고 있는 건지 후회하진 않을지 걱정이 많았습니다. 만약 열심히 했고, 잘하고 있다면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이제부터가 진짜 시작이라는 마음가짐으로 열심히 하겠습니다!

'회고 > 우아한테크코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협업 더 잘해보기  (0) 2023.08.21
정답 대신 경험  (8) 2023.06.10
혼자하는 코딩보다 중요한 것  (8) 2023.04.21
프리코스를 해야하는 이유  (0) 2022.11.04
profile

bass

@bassyu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